코리아타임뉴스 권충현 기자 |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제주도민의 기후변화 불안, 환경오염 방지 노력 등 기후·환경 인식과 실천에 대해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한 [제주도민의 기후변화 불안 경험과 환경 행동 추이(2012~2022) ] jewfri Brief(연구책임자 고지영 선임연구위원)를 발간했다.
기후변화는 이상기상, 자연 생태계 변화 등의 환경변화를 통해 인적, 물적, 정신적 피해를 줄 수 있고, 이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기후불안은 환경 감수성을 높임으로써 친환경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보고된다.
이번 브리프는 기후・환경에 대한 제주도민의 생각과 실천에 대한 기초 자료 구축을 위해 추진됐고, 통계청의 '사회조사' 원자료(2012~2022년)를 활용해서 20세 이상 인구의 기후변화 불안, 환경보호 비용 부담금 지불 인식, 환경오염 방지 노력을 인구 사회적 특성별로 살펴보고, 전국 추이와 비교했다.
제주도민의 기후변화 불안 인식은 2012년~2016년까지 전국평균보다 낮았으나 2018년 역전하여 2022년에는 20세 이상 제주도민의 51.9%(전국 46.3%)가 ‘불안하다’고 했고, 평균 인식은 17개시도 중 가장 높았으며, 여성일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환경보호 비용 부담금 지불에 대해서는 전국적으로 ‘찬성’ 의견이 증가추세이다.
2022년 20세 이상 제주도민의 55.8%(전국 50.4%)가 찬성하고, 제주의 찬성의식은 전국 시도 중 세 번째로 높으며, 40대와 60세 이상,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기후변화 불안감이 높을수록 높다.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7개 분야의 노력 수준을 분석한 결과, 제주지역은 일회용품 미사용, 친환경제품 구입・사용, 자연보호 활동 분야에서는 전국평균보다 높고, 대중교통 이용, 재활용품 분리배출, 합성세제 사용 줄이기,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서는 전국평균보다 낮았다.
7분야 합산으로 보는 2022년 제주의 환경오염 방지 노력은 전국 17개시도 중 중간 수준이고, 여성일수록, 40대와 60세 이상일수록 높고, 교육 수준이나 기후변화 불안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국의 경우, 고학력자일수록, 그리고 기후불안이 높을수록 환경행동 실천도 높아지지만 제주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즉 고학력이나 기후불안이 환경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구결과,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제주형 정책 시사점으로 △ 기후변화 위험에 대한 합리적 경각심 제고, △ 환경 행동 실천을 위한 정책·교육 강화, △ 공공기관 및 사회적 리더십의 환경 행동 실천 수단 강화, △ 기후・환경 분야의 여성정책 발굴 및 정책 참여 확대, △ 제주지역 기후·환경 이슈에 관한 지속적 연구·조사 등을 제시했다.